상해한학 독서캠프 1/4

1단원 순자에게 공정한 평가를 돌려주자의 독서퀴즈입니다!

Q1:학번을쓰세요.(예110101)

选项1

Q2:이름을쓰세요.

选项1

Q3:다음중이책의저자의생각이나의도가아닌것은?

고위금융하는 태도를 가지면 안 된다.
지금의 목적을 위해 옛 것을 사용하는 식의 태도는 좋지 않다.
옛 문헌의 내용을 우리 시대, 상황에 맞춰 쓴 것처럼 읽어야 한다.
우리 삶의 방식은 인류의 풍부하고 다양한 경험 가운데 하나이며 인류의 가능성 안에서 대단히 작은 영역에 해당한다.

Q4:고전을역사속에되돌려놓고고전의저자가어떤시대,어떤환경에서어떤문제에부딪치고어떤답을찾으려고노력했는지이해해야한다과가장거리가먼것은?

옛날 사람이 한 말을 우리에게 익숙하고 받아들이기 쉬운 단어와 관념으로 말하는 것
고전을 역사 속에 되돌려 놓고 이해하는 것
옛 사람의 생각과 말이 어떤 형식으로 기록되고 시공간의 변화를 거쳐서 우리 앞에 나타났는지 염두에 두는 것

Q5:일반적인담론과달리이책의저자가주장하는유가에대한생각은?

유가는 공자나 맹자의 견해를 믿고 주장하는 것이다.
우리가 생각하는 유가의 견해는 맹자보다 순자에서 비롯된 것이 많다.
중국 문화는 주로 유가 사상에서 비롯되었다

Q6:다음중옳지않은것은?

공자는 춘추시대 후기에 활동했다.
공자는 서주 왕관학의 전통을 이어받아 특히 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공자는 예는 법보다 근본적으로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공자는 예는 안에서 밖으로 향하여 마음 속의 진실한 감정으로부터 표현되는, 사람과 사람이 서로를 적절히 대하는 행위이다.

Q7:다음은예에대한설명이다.옳지않은것은?

외적인 위협이자 강제 수단이며, 일종의 기율이자 규정으로서 배후에 사람들이 무서워하는 징벌이 숨겨져있다.
예로써 규제하면 진심으로 정당한 행위 법칙을 준수한다.
예는 외적인 것이지만 예의 작용은 누가 외적인 행동을 할 때 그 행동의 내적 원리를 인지하고 이해하게끔 만드는 데 있다.
예의 특수한 점은 안괴 밖의 융합, 즉 내적 감정과 외적 행위가 상호작용하며 서로 강화하고 증명하는 데 있다.

Q8:다음중옳지않은것은?

맹자는 사람의 본성은 본디 선하다고 주장했다.
순자는 맹자의 학설에 반대해 성선설을 주장했다.
공자는 왕관학의 교육 내용을 보편 교육으로 개조하여 귀족적 성격을 제거했다.
공자와 맹자는 동시대 사람으로 예를 중시했다.

Q9:다음중맹자의사상에대한설명으로옳지않은것은?

맹자는 정신 수양에서의 성심과 진의를 강조하는 사상을 이어받아 한층 더 예와 법의 구분에 신경을 썼다.
맹자는 예와 법이 동등한 행위 규범의 방식이라고 보았다.
맹자는 법은 예를 실현하는 일종의 수단, 심지어 가능한 적게 써야 하는 부득이한 수단으로 간주했다.
맹자는 모든 사람이 서로 유사한 성을 갖고 태어나는데 이것으로 인해 나면서 공통으로 좋아하는 것이 있게 된다고 주장했다.

Q10:맹자의성선설에대한설명이아닌것은?

맹자는 자신의 도덕적 직관을 믿고 따르면서 직관을 가로막는 방해물을 제거하고 본성으로 돌아가면 된다고 생각했다.
맹자는 본성으로 돌아갈 힘이 모자랄 때는 다른 사람의 덕행을 살피고 이해하거나 본성에 따른 예를 준수함으로써 도움을 얻을 수 있다고 했다.
맹자는 법이 본성으로 돌아가지 못하는 소수에게 외부에서 징벌을 강제함으로써 그들이 다른 사람과 자신을 해치지 못하게 규제한다고 했다.
맹자는 다수의 사람들과 지위가 높고 자존감이 있는 사람들에게도 법의 강제적 규율이 필요하다고 했다.

Q11:맹자와순자시대의웅변의풍조를비교한내용으로옳지않은것은?

맹자의 시대는 군주가 다양한 의견을 듣고 경청해야 하는 시대였다.
맹자의 시대에는 누구든 군주 앞에서 의견을 제시할 기회를 갖고 자신의 주장이 유리하고 이치에 맞는지 다른 사람의 의견에 비해 뛰어난지 과시할 수 있었다.
순자의 시대에는 웅변의 풍조가 생겨나 군주 앞에서 자신의 의견을 피력할 수 있었다.
순자의 시대는 수십년 간 국가 간 전쟁에서 강한 나라와 약한 나라 사이의 구분이 뚜렷해지고 있었다.

Q12:순자의핵심사상에대한설명으로옳지않은것은?

순자는 예가 인위적인 것이지 자연스런 공통의 천성에서 나온 것은 아니라고 주장했다.
순자는 성인의 지혜가 사람마다 내면에 가지고 있는 예의 정신적 질서를 정리하고 통합해 외부에 제도화하는 데 있다고 주장했다.
순자는 예는 성인이 만들어내는 것이며 보통 사람은 배움을 통해 예의 바르게 변하여 성인에 가까워지고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자격을 갖춘다고 주장했다.
순자는 예는 법과 마찬가지로 인위적으로 고안된 외적 질서로서 사람의 내적 본성과 무관하다고 주장했다.

Q13:순자가주장한예와법에대한설명으로옳지않은것은?

예와 법은 본질에 따라 구분되는 것이다.
예는 적용 범위가 더 넓고 상대적으로 강제성이 크지 않는데 비해 법은 범위가 좁고 상대적으로 강제성이 크다.
예는 법과 연속적인 것으로 가장 엄격한 예는 법의 영역으로 들어갔고 가장 느슨한 법도 예의 범위와 중첩되었다.
예와 법 사이의 명확한 경계선이 존재하지 않는다.

Q14:맹자의사상에대한설명으로옳지않은것은?

맹자의 사상은 인간에 대한 높은 신뢰를 바탕으로 한다.
맹자는 개별적 자아의 각성과 의지를 중시하였다.
맹자는 외부의 강압적 힘을 선호하지 않았다.
맹자에게 예와 법은 근본적인 차이가 없다.
问卷网
상해한학 독서캠프 1/4
关于
1年前
更新
0
频次
14
题目数
分享